Thursday, July 27, 2017

Korean version, see below UN Special Rapporteur urges Seoul and Pyongyang to discuss human rights



Boxbe  UN Human Rights (media@ohchr.org) is not on your Guest List | Approve sender | Approve domain 

                

Korean version, see below
UN Special Rapporteur urges Seoul and Pyongyang to discuss human rights


GENEVA / SEOUL (27 July 2017) – Human rights should feature high on the talks agenda in South Korea’s proposed initiative to resume military and humanitarian dialogue with the North, a United Nations rights expert has said.

The Special Rapporteur on human right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Tomás OJEA QUINTANA, said the opportunity to discuss human rights must be seized as part of the current efforts to restore severed 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While I welcome the initiative by the administration of President Moon Jae-in to resume dialogue, it is important that that engagement serves as a platform for North Korea to discuss ways to improve human rights,” Mr. OJEA QUINTANA said, ending his second mission to the Republic of Korea (ROK) since his appointment by the UN Human Rights Council last year.

Pyongyang has recently rejected a call by Seoul to resume family reunions, which have not been held for two years, after the DPRK resumed nuclear tests and long-range missile launches. 

North Korea has also said that further reunions can only take place if 12 restaurant workers, whom it says South Korea abducted from China in 2016, are returned. Mr. OJEA QUINTANA said the account he has received contains inconsistencies, and pledged to follow up on the issue with the concerned parties to help the women and their families reconnect.

The Special Rapporteur also met with a man who wishes to return to North Korea where his wife and son live, despite the risk of being punished for leaving for South Korea three years ago. 

“If anything, these cases highlight the complexity of the family separation issue that started 70 years ago, and the fact that it continues to take new forms and affect people in the Korean peninsula in profound ways,” he argued. 

The expert highlighted a surge in detentions and forced repatriations of North Koreans caught in China, who usually receive harsh labour sentences when they are sent back. 

“North Koreans who leave their country are caught in a horrendous cycle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violence, and I received information that some take their own lives when they find out that they are scheduled for repatriation,” said Mr. OJEA QUINTANA.

The expert noted that China has a responsibility to abide by the principle of non-refoulement in international law. “I appeal to the Government of China to halt the policy, protect those in custody and engage with my mandate and with relevant UN agencies to think of alternatives,” he stressed.

The Special Rapporteur reiterated his deep concern about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The information I have been receiving points to different violations that continue to affect the lives of ordinary North Koreans and even foreigners,” he said, highlighting allegations of arbitrary detention, human trafficking and enforced disappearances, as well as sexual and gender-based violence against women detained in holding centres in the border areas. 

He also identified detention conditions as a matter of continuing concern: “The prospect of being sent to a political prison camp keeps haunting North Koreans. The fear is so great that people assume anyone who disappears must have been sent to one of the five known camps.”

“The issue concerns foreigners too, some of whom have been detained for months without access to consular assistance to which they are entitled”, he added. 

A recent crackdown on the use of electronic equipment and foreign audiovisual material was brought to the expert’s attention. “The Government campaign seems to contrast with wider access to smart phones and foreign DVDs within the population. Information does come in despite all the restrictions and penalties,” he said.  

Since his appointment the expert has pursued what has been termed by his predecessor a ‘two-track approach’, combining calls for dialogue with an emphasis on the need to hold the authorities to account.

“While the debate on accountability will continue to expand following the latest DPRK resolutions at the UN Security and Human Rights Councils, we need to broaden the concept and consider it as part of the larger question of what it takes to ensure freedom and dignity for all North Koreans. Of course that conversation also involves the authorities”, Mr. OJEA QUINTANA emphasized.

During his five-day mission to Seoul, from 17 to 21 July, the Special Rapporteur met senior members of the Government as well as representatives of civil society and other groups. His requests for access to North Korea have not been granted.

The Special Rapporteur will report his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to the UN General Assembly in October 2017. 

ENDS

Mr. Tomás OJEA QUINTANA (Argentina) was designated as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DPRK by the UN Human Rights Council in 2016. Mr. Ojea Quintana, a lawyer with more than 20 years of experience in human rights, worked for the Inter-American Commission of Human Rights, and represented the Argentinian NGO “Abuelas de Plaza de Mayo” in cases concerning child abduction during the military regime. He is a former Head of OHCHR human rights programme in Bolivia, and served as the UN Special Rapporteur on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Myanmar from 2008 to 2014. 

The Special Rapporteurs are part of what is known as the Special Procedures of the Human Rights Council. Special Procedures, the largest body of independent experts in the UN Human Rights system, is the general name of the Council’s independent fact-finding and monitoring mechanisms that address either specific country situations or thematic issues in all parts of the world. Special Procedures’ experts work on a voluntary basis; they are not UN staff and do not receive a salary for their work. They are independent from any government or organization and serve in their individual capacity.

UN Human Rights, country page: DPRK 

OHCHR Seoul Office 

For additional information and media requests, please contact in English, Tarek Cheniti (+82 2 725 3522 /tcheniti@ohchr.org) or in Korean, YounKyo Ahn (+82 2 725 3523 / yahn@ohchr.org)

For media inquiries related to other UN independent experts:
Xabier Celaya – Media Unit (+ 41 22 917 9383 / xcelaya@ohchr.org)   

You can access this news release online   

Concerned about the world we live in? Then STAND UP for someone’s rights today.#Standup4humanrights and visit the web page at http://www.standup4humanrights.org
 
_________________________ 

유엔 특별보고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에 인권을 논의하도록 촉구


제네바/서울 (2017년 7월 27일) —유엔 인권 전문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군사적 및 인도주의적 대화 재개를 제안한 대한민국에 인권을 대화 의제의 우선 순위에 두도록 촉구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 인권에 관한 특별보고관 (이하 “특별보고관”) 토마스 오헤아 퀸타나는 남북 양측 간 단절된 관계를 회복하고자 노력하는 가운데, 인권을 논의할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별보고관은 지난 해 인권이사회에서 임명된 후 두 번째로 대한민국을 공식 방문했고*, 이를 마무리하는 자리에서 “문재인 대통령 정부의 대화 재개 노력을 환영하며, 한편으로 북측이 관여(engagement) 정책을 발판으로 삼아 인권을 개선할 방안을 논의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북측은 최근 남측의 이산가족 상봉 재개 요청을 거부했다. 북측이 핵 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재개한 후 2년여간 이상가족 상봉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북측은 남측이 2016년 중국에서 북 식당 종업원 12명을 납치했다며, 이들 식당 종업원이 송환되어야만 이산가족 상봉이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별보고관은 식당 종업원 관련 설명에 일치하지 않는 점이 있다며, 식당 여성 종업원과 가족이 다시 연락이 닿을 수 있도록 추후 관계당사자와 논의를 이어가겠다고 약속했다.

특별보고관은 3년 전 탈북했으나 아내와 아들이 살고 있는 북으로 돌아가고 싶어하는 남성도 만났다. 해당 남성은 돌아가면 탈북을 이유로 처벌받을 위험을 감수하고라도 돌아가고 싶어한다. 

특별보고관은 “앞서 언급한 사안들은 7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가족 이산 문제가 얼마나 복잡한지 보여준다 “가족 이산은 새로운 양상으로 이어지고 한반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별보고관은 한편 중국에서 북 주민이 구금되고 강제 북송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고도 강조했다. 북송된 북 주민은 일반적으로 가혹한 노동형을 받는다. 

특별보고관은 “자국을 떠난 북 주민이 신체 및 정신적 폭력에 끊임없이 시달리게 된다 “북송을 앞두고 있는 경우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례가 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특별보고관은 중국이 국제법 상 송환금지(non-refoulement)원칙을 따를 의무가 있다고 강조하며 “중국 정부에 북송을 멈추고 구금된 이들을 보호하고, 더불어 대안책을 구상하도록 특별보고관 및 관련 유엔 기관과 협력하도록 촉구한다고 말했다. 

특별보고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 인권 상황이 여전히 심각하게 우려된다고 강조했다. 

수집한 정보에 따르면, 여러 인권 침해가 지속적으로 북 주민의 삶에, 심지어는 외국인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자의적 구금, 인신매매, 강제 실종 의심 사례뿐 아니라 국경 지대 집결소에 구금된 여성이 성 폭력 및 젠더 기반 폭력 노출되는 의심 사례를 언급했다. 

특별보고관은 더하여 북측 내 구금 시설에 우려를 금할 수 없다며 “북 주민은 정치범 수용소에 끌려갈 수도 있다는 두려움을 항상 느끼고 있어서, 누군가 실종되면 다섯 곳의 정치범 수용소 중 하나에 보내졌으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외국인도 예외가 될 수 없다. 영사 접견을 보장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영사 접견 없이 수 개월 간 구금된다고 더했다. 

특별보고관은 당국이 전자기기 사용이나 국외에서 제작된 시청각 자료를 최근에도 단속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점점 더 많은 북 주민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거나 해외 DVD를 접하고 있지만 되려 정부는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며, 정부 제한이나 처벌에도 불구하고 북으로 정보가 유입되고 있다고 말했다. 

특별보고관은 전임 특별보고관이 ‘병행 전략(two-track approach)’이라 칭한 접근을 이어가고 있다. 대화를 추진하는 동시에 당국 책임자 처벌 필요성을 강조한다. 

최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와 인권이사회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련 결의안이 채택된 후 책임 규명 논의가 확대될 것이다. 북 주민 모두에게 자유와 존엄성을 보장해주려면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살피는 더 큰 맥락에서 책임 규명을 규정하고 고려해야하며, 반드시 북 당국이 대화에 참여해야 한다고 특별보고관은 강조했다. 

특별보고관은 7월 17일부터 21일까지 5일 간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정부 고위관계자 뿐 아니라 시민사회단체 및 각계 인사를 만났다. 특별보고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방문을 요청하였으나, 허용되지 않았다. 
 
특별보고관은 자신이 파악한 내용 및 권고를 담아 오는 10월 유엔 총회에 보고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방한 마무리 모두 발언문: http://www.ohchr.org/EN/NewsEvents/Pages/DisplayNews.aspx?NewsID=21898&LangID=E



토마스 오헤나 퀸타나 (아르헨티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 인권 상황에 관한 특별보고관으로 2016년 유엔 인권이사회 임명을 받았다. 인권 분야에서 20년 이상의 경력을 쌓은 변호사로 미주인권위원회에서 변호사로 근무했으며, 아르헨티나 군부 독재 시절 아동 납치 문제를 다룬 비정부기구 마요 광장의 어머니들 (Abuelas de Plaza de Mayo) 대표로도 활동했다. 볼리비아 내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 인권 프로그램을 총괄한 바 있으며, 2008년부터 2014년까지 미얀마 내 인권에 관한 특별보고관직을 역임했다. 

특별보고관은 유엔 인권이사회 특별절차제도로, 특별절차는 유엔 인권 제도 하에서 가장 많은 수의 독립전문가가 참여한다. 특별절차는 특정국가 인권 또는 전세계에 적용하는 특정 인권 주제를 다루기 위해 인권이사회가 독립적으로 사실 관계를 규명하고 모니터링하는 제도를 가리킨다.특별절차 전문가는 유엔 직원 신분이 아니고 무보수로 자발적인 임무를 수행한다. 또한 여타 정부나 기관으로부터 독립성을 유지하며 개인 역량을 바탕으로 업무를 수행한다.

유엔 인권 국가별 웹페이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울유엔인권사무소 웹페이지

추가 정보 및 언론사 영어 문의는 Tarek Cheniti (+82 2 725 3522/ tcheniti@ohchr.org), 한국어 문의는 안윤교 (+82 2 725 3523 / yahn@ohchr.org)로 문의주십시오. 

기타 유엔 독립전문가 관련 언론사 문의는 아래 언론 부서(Media Unit) 담당자로 문의해 주십시오.
사비어 셀라야(Xabier Celaya) (+ 41 22 917 9383 / xcelaya@ohchr.org)    

보도자료는 온라인에서도 확인할  있습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이 더 나아지길 바라시나요? 다른 이의 권리를 옹호하기 위해 “스탠드업(STAND UP)” 목소리를 내주세요.  스탠드업(#Standup4humanrights) 웹사이트(http://www.standup4humanrights.org)에 방문해주세요.


No comments:

Post a Comment

Anjan Kumar's write up on smilevalley.net

Writing is in my blood and I do what I love. ANJAN KUMAR SAMAL Sports | 1 Day Ago Virat Kohli claimed as number one...